태그 보관물: Go

DarkForest, the Facebook Go engine

figure

처: 페이스북 다크포레스트 깃허브

페이스북이 ICLR 2016에서 발표한 인공지능 바둑 엔진인 다크포레스트(DarkForest)를 깃허브에 공개하였습니다. 다크포레스트는 토치로 개발되었으며 알파고와 유사하게 딥 콘볼루션 뉴럴 네트워크와 몬테 카를로 트리 검색 방식을 함께 사용합니다. 다크포레스트는 올해 초에 네이처지를 통해 발표한 것으로 강화학습을 사용한 구글의 알파고보다는 크게 뒤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얀 리쿤(Yann LeCun) 교수의 페이스북 글을 참고하면 다크포레스트는 대략 아마 5단의 실력을 가지고 있어서 프로 5단 정도의 실력으로 평가되는 알파고와는 차이가 많이 난다고 합니다. 얼마전 이세돌과의 대국을 봐서는 알파고의 수준은 프로 5단 이상으로 보입니다.

다크포레스트의 페이퍼는 여기서 받으실 수 있으며 ICLR에 올려진 포스터는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과 구글이 바둑을 두고 경쟁한다.

체스는 꽤 오래전에 사람보다 프로그램이 앞서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게임에서 사람은 컴퓨터에 졌지만 유독 바둑만은 예외였죠. 여러 사람들이 바둑은 컴퓨터가 사람을 이기기 힘들다고 예상했습니다. 경우의 수가 너무 많거든요. 가장 최근으로는 크레이지 스톤이라는 프로그램이 4점을 먼저 두고 작년에 유명한 프로 기사(요다 노리모토 9단)를 이겼습니다.  한 점당 보통 6~7집 정도를 덤으로 계산하면 25집 정도차이가 나므로 실제로는 꽤 큰 실력 차이입니다.

지난 달 페이스북에서 바둑에 관한 인공지능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지금까지 게임 인공지능은 몬테 카를로 트리 탐색이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페이스북의 논문은 여기에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서 성능 향상을 꾀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페이스북에 이어 구글이 수개월안에 바둑과 관련하여 놀라운 것을 발표하겠다고 말한 것 입니다. 바둑을 놓고 구글과 페이스북이 경쟁 아닌 경쟁을 하는 셈이죠. 사실 바둑의 AI 문제는 단순히 바둑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바둑을 정복할 수 있다면 보다 더 고도화된 AI 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와이어드 기사에서는 구글이 딥러닝에 더해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것이라고 내다 보았습니다. 구글이 발표할 내용이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딥러닝을 이용한 것이라면 텐서플로우를 이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흥미로운 경쟁을 기대해 보시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