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rst Contact with TensorFlow’ Book Cover. 출처: http://www.jorditorres.org
스페인 카탈루냐 공과대학의 Jordi Torres 교수가 텐서플로우를 소개하는 책 ‘First Contact with TensorFlow‘을 공개했습니다. 책의 서두에서도 밝혔지만 이 책은 ‘Fundamental of Deep Learning‘ 같은 책 처럼 머신러닝의 이론적 배경에 무게를 두기 보다는 텐서플로우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한 입문서 용도로 쓰여 졌습니다.
이 책은 대략 140여 페이지 정도로 pdf 나 인쇄본으로 구매할 수도 있지만 온라인에서 무료로 읽을 수 있도록 책 전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부가적으로 Jordi Torres 교수가 강의에 활용했던 슬라이드는 여기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책의 한글 번역본이 출간 되었습니다. 온라인(YES24, 교보문고)/오프라인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하시면 저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
아래 포스트에 포함된 글과 코드를 최신 텐서플로우 버전에 맞추어 수정하였습니다. 하지만 코드는 가능하면 테스트를 거친 번역서 깃허브의 주피터 노트북을 참고해 주세요.
원 도서의 라이센스(CC BY-NC-SA 3.0)에 따라 전체 내용을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원서의 코드는 파이썬 2.7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파이썬 3.x 버전 notebook으로 작성한 이 책의 코드는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텐서플로우 논문 요약 자료도 함께 참고하세요.
핑백: OpenAI first Work – Gym | 텐서플로우 코리아 (TensorFlow Korea)
핑백: Deep Learning with Python | 텐서플로우 코리아 (TensorFlow Korea)
30년의 물리학 강의생활을 마친 퇴직교수입니다. 잘모르지만 의미가 좋아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기회를 만들어준 노고에 찬사를 보냅니다.
좋아요좋아요
격려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즐거운 여정이 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_^
좋아요좋아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좋아요좋아요
저도 감사드립니다. ^^
좋아요좋아요
Kyuling Company에서 이 항목을 퍼감댓글:
저도 시간되면 좀 읽어봐야 겠습니다.
좋아요좋아요
네, 블로그에 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아요좋아요
좋은 내용들이 많이 있군요. 공부하면서 자주 참조할 거 같습니다. ㅇㅂㅇ
좋아요좋아요
핑백: Tensorflow 참고링크 – Hyejun
핑백: Tensorflow Study | Documents for Development(KR) and Engineer
안녕하세요 근데 질문이 있는데 한 텐서를 get_shape()함수를 쓰면 (5551,5551)이 나오는데 그 함수를 print(sess.run(tensor이름))으로 출력할려 하면 계속 Resource exhausted: OOM when allocating tensor with shape[5551,5551,16980] 라고 뜨네요. 무슨 이윤지 물어봐도 될까요?
좋아요좋아요
아마 시스템이나 GPU 메모리보다 텐서가 더 큰 것 같습니다. 미니 배치 방식을 사용해 보세요. ^^
좋아요좋아요
실례가 안된다면 그게 뭔지 물어봐도 될까요…제가 모르는 게 많아서;;
좋아요좋아요
모델을 훈련시킬때 전체 데이터를 한번에 넣지 않고 데이터를 섞은 후 조금씩 나눠서 차례대로 모델 훈련에 사용하는 방식을 미니배치 방식이라고 합니다. 뉴럴넷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흔해서 미니배치 방식이 널리 사용됩니다. ^^
좋아요좋아요